빅오표기법1 [기술면접] 자료구조 |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 💡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란 무엇일까? 시간 복잡도는 얼마나 빠르게 실행되는지(응답에 걸리는 시간), 공간 복잡도는 메모리 공간이 얼마나 필요한지(얼마나 많은 자원을 쓰는지)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는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어, 보통 알고리즘의 성능을 판단할 때는 시간 복잡도를 위주로 판단하게 된다. 보다 전문적인 용어 쓰기 : 시간복잡도: 알고리즘이 실행될 때 필요한 ‘입력 값’과 ‘연산 수행 시간’에 따라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척도를 의미한다. 공간복잡도: 알고리즘이 실행될 때 필요한 ‘메모리 공간의 양’을 의미합니다. 빅오 표기법 ‘빅오 표기법(Big-O notation)’를 통해 표현하며 수치가 작을수록 효율적인 알고리즘이다. 최악인 경우의 시간 복잡도를 나타내며, 상.. 2023. 9.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