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18 [CS] 디자인 패턴 Design Pattern - 1 - ** 프리온보딩 강의 및 개인 공부를 하면서 정리한 글로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쁜말 지적 환영 객체지향은 객체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밍을 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뜻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들은 능동적인 존재가 된다. 객체들은 공동체를 만들어 서로 상호작용하며 기능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그 상호작용은 ‘메세지’로 이루어진다. 객체 지향 세계에서 독점은 없다. 필요한 기능들을 쪼개어 객체에 분배하고 객체 간의 적절한 협력을 이루는 것이 application의 목표이기에, 혼자 모든 것을 가지고있는 객체는 없다. 마치 맥도널드 시스템처럼 주문 / 패티 / 햄버거 조립 / 감자튀김 담당으로 기능이 쪼개져있게 된 것이다. 객체지향에서의 협력과 책임, 역할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 협력 .. 2024. 2. 16. [기술면접] Network | 캐시 쿠키 세션, CORS 💡 캐시, 쿠키 세션의 비교 캐시, 쿠키, 세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들이다. 각각 다른 목적과 기능을 가진다. 캐시 (Cache): 캐시는 이전에 가져온 데이터나 웹 페이지의 일부를 저장, 동일한 데이터나 페이지를 다시 불러올 때 더 빠르게 접근하도록 돕는다. 클라이언트(브라우저)나 서버에 있을 수 있다 브라우저는 웹 사이트의 자산(이미지, 스타일 시트, 스크립트 등)를 캐시하여 이후 요청에 대한 성능을 최적화한다. 캐시는 웹 페이지 로딩 시간을 줄이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켜 효율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킨다. 쿠키 (Cookies): 쿠키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데이터 조각 웹 사이트가 브라우저를 식별하고 정보를 기억할 .. 2023. 9. 21. [기술면접] Network | OSI 7계층, TCP/IP 4계층 읽어도 이해가 어려워서 일단 다른 블로그를 보며 가져왔다ㅠ 이후 수정 예정 💡 OSI 7계층, TCP/IP 4계층을 비교하여 설명해주세요 - 두 모델 모두 계층형 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TCP/IP는 인터넷 개발 이후 계속 표준화되어 신뢰성이 우수인 반면, OSI 7 Layer는 표준이 되기는 하지만 실제적으로 구현되는 예가 거의 없어 신뢰성이 저하되어있다. - OSI 7 Layer는 장비 개발과 통신 자체를 어떻게 표준으로 잡을지 사용되는 반면에 실 질적인 통신 자체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 TCP/IP 프로토콜은 OSI 모델보다 먼저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TCP/IP 프로토콜의 계층은 OSI 모델의 계층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 두 계층을 비교할 때 , 세션(Session.. 2023. 9. 11. [기술면접] DB | 데이터베이스 정규화 💡 정규화란 무엇이고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정규화는 ERD 내에서 중복 요소를 찾아 제거해나가는 과정이다 정규화 방법 : 1) 1차. 2차 3차. 보이스코드 정규화는 함수적 종속성에 근거 2) 4차 정규화는 다치 종속을 제거 3) 5차 정규화는 조인에 의한 이상현상을 제거하여 정규화를 수행합니다. 👍장점 : 정규화를 통해 입출력 데이터의 양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입력/수정/삭제 시 성능은 항상 향상됩니다. 유연성 증가: High Cohesion & Loose Coupling 원칙에 충실해짐 재활용 가능성 증가: 개념이 세분화됨 데이터 중복 최소화 👎단점 : 정규화로 인해 조회 시 처리 조건에 따라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 조회 시 조인을 유발하여 CPU와 메모리를 많이 .. 2023. 9. 10. 이전 1 2 3 4 5 다음